단어장
매독, syphilis,트레포네마 팔리둠(Treponema pallidum), 스피로헤타(spirochetes),질병관리청,3급 전염병, 4급 전염병.
글을 쓰는 이유
- 콘돔 사용이 보편화 되고, 성병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낮아졌다. 특히 매독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낮다.
- 매독은 콘돔의 사용으로 완벽히 예방되지 않는다.(구강 전파 가능.)
- 매독은 초기 증상이 심하지 않을 수 있으나 짧게는 수년에서 수십년까지 무증상으로 잠복이 가능하며(전염성이 낮지만 잠복기에도 전염 가능하다.) 3기로 진행시 매우 치명적인 질환으로 변한다.
- 가벼운 만남이 많아졌다.
- 해외로의 여행객이 폭증하고 있다.(일본, 대만, 중국의 경우 최근 매독 발생 급증.)
매독 감염자 수 얼마나 늘었나?
매독 신고 대상은 1기, 2기, 선천성 매독 진단을 받은 사람.
- 2019년 1753건.(전수검사).
- 2020년 354건.
- 2021년 337건.
- 2022년 401건.
- 2023년 476건.
- 2024년 2,786명(전수검사).
매독 감염자수가 갑자기 늘어난 이유
- 2001년 표본감시체계 도입 이후 2010년까지 표본감시로 관리.
- 2010년-2019년 법정 감염병 분류 체계 개편에 따라 전수감시로 전환.
- 2020-2023년부터 다시 표본감시로 4급 감염병 체계 전환.
- 24년 부터 다시 3급 전수감시 감염병 체계로 전환.
질병관리청 뉴스레터
전수감시로 전환한 이유
- 상대적으로 높은 매독의 감염 전파 위험.
- 매독은 장기간 전파가 가능하며 치료하지 않을 경우 중증 합병증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어 좀 더 세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.
- 선천성 매독 퇴치 필요성.
- 매독 치료 추적검사에 따른 경제적 심리적 부담이 크므로 유행 확산 방지 차원에서 전수감시가 필요.
- 주변국 발생 증가 경향에 대한 선제적 대응 차원.